맨위로가기

OFC 여자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이 주관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이다. 1983년 시작되어 2022년까지 총 12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뉴질랜드는 6회, 오스트레일리아는 3회, 중화 타이베이는 2회, 파푸아뉴기니는 1회 우승을 차지했다. 15개의 팀이 참가했으며, 뉴질랜드가 최다 출전 및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세계 육상 경기 연맹 주관으로 격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육상 경기 대회로서, 올림픽에 필적하는 권위를 인정받는 육상 종목의 최고 권위 대회 중 하나이며,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 대구에서 개최되었다.
  • 198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코파 데 라 리가
    FC 바르셀로나 회장의 제안으로 창설된 코파 데 라 리가는 스페인의 축구 컵 대회로 구단 재정 수입 증대를 목표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986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 오세아니아 선수권 대회 - OFC 챔피언스리그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오세아니아 지역 최강 클럽을 가리고 우승팀은 FIFA 클럽 월드컵에 진출하며, 2007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오세아니아 선수권 대회 -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오세아니아 지역 야구 최강팀을 가리는 대회로, 1995년부터 2007년까지 개최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괌이 우승한 기록이 있다.
  • OFC 대회에 관한 - OFC 챔피언스리그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오세아니아 지역 최강 클럽을 가리고 우승팀은 FIFA 클럽 월드컵에 진출하며, 2007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OFC 대회에 관한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은 오세아니아 지역의 축구 행정을 총괄하는 기구이며, FIFA 월드컵 등 다양한 국제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OFC 여자 네이션스컵
대회 정보
이름OFC 여자 네이션스컵
주최OFC
지역오세아니아
참가 팀 수9 (결승)
관련 대회OFC 네이션스컵
현재 챔피언}}
현재 대회2022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웹사이트https://www.oceaniafootball.com/competition/ofc-womens-nations-cup-2022/

2. 역대 대회

(승부차기 6 - 5)



1 1989년 대회의 3, 4위전 경기가 악천후로 인해 취소됨에 따라 조별 리그 성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1991년 대회부터는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을 겸하여 개최되고 있다.

2. 1. 1983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1983년 대회는 OFC 여자 네이션스컵의 첫 대회로, 누벨칼레도니에서 개최되었다. 뉴질랜드는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연장전 끝에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 누벨칼레도니피지도 이 대회에 참가했다.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3 - 2 (연장)(라운드 로빈)


2. 2. 1986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中華台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가 초청팀으로 참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를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6]

우승준우승3위4위
B팀


2. 3. 1989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중화 타이베이}}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이 대회에서 뉴질랜드를 1-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6] 3, 4위전은 악천후로 취소되어 조별 리그 성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는데, 오스트레일리아가 3위를 차지했다.[6]

우승준우승3위4위
B팀


2. 4. 1991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199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3개 팀이 참가했다. 이 대회는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했다. 뉴질랜드가 라운드 로빈(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 이 대회에서 우승하여 월드컵에 진출했다.[6]

순위국가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1???????
2???????
3???????


2. 5. 1994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1994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파푸아뉴기니에서 개최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3개 팀이 참가했다. 이 대회는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을 겸했다. 오스트레일리아가 라운드 로빈(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 이 대회에서 우승하여 월드컵에 진출했다.[6]

2. 6. 1998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1998 OFC Women's Championship영어은 1998년 뉴질랜드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6] 파푸아뉴기니피지를 7-1로 꺾고 3위를 기록했다.[6] 이 대회에는 아메리칸사모아와 사모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우승준우승3위4위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파푸아뉴기니피지
3 - 17 - 1


2. 7. 2003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3년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아시아 축구 연맹(AFC)으로 이동하기 전 마지막으로 참가한 OFC 여자 네이션스컵이었다.[6]

우승준우승3위4위


2. 8. 2007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7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파푸아뉴기니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뉴질랜드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파푸아뉴기니가 준우승, 통가가 3위, 솔로몬 제도가 4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는 라운드 로빈(풀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순위국가
1
2
3
4


2. 9. 2010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OFC Women's Nations Cup영어의 2010년 대회는 2010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뉴질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푸아뉴기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11 – 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6] 쿡 제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솔로몬 제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2-0으로 이기고 3위를 기록했다.[6]

우승준우승3위4위
뉴질랜드파푸아뉴기니쿡 제도솔로몬 제도


2. 10. 2014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New Zealand영어, 뉴질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2014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파푸아뉴기니에서 개최되었으며, 뉴질랜드는 라운드 로빈(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 결승 리그에서 파푸아뉴기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쿡 제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3위를, 통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4위를 기록했다.

2. 11.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누벨칼레도니에서 개최되었으며, 뉴질랜드가 결승전에서 피지를 8 – 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6] 파푸아뉴기니는 3·4위전에서 누벨칼레도니를 7 – 1로 이기고 3위를 기록했다.[6]

우승준우승3위4위


2. 12. 2022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2022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이 주관하는 여자 축구 국가 대항전이다. 2022년 대회는 피지에서 개최되었으며, 파푸아뉴기니가 결승전에서 피지를 2-1로 꺾고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7] 솔로몬 제도는 사모아와의 3, 4위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6-5) 이겨 3위를 차지했다.[7]

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파푸아뉴기니2 - 1피지솔로몬 제도1 - 1
(승부차기 6 - 5)
사모아


3. 참가국

OFC 여자 네이션스컵에는 다양한 국가들이 참가했다. 초기에는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중화 타이베이가 번갈아 우승을 차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아시아 축구 연맹(AFC)으로 소속을 옮긴 후에는 뉴질랜드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파푸아뉴기니는 꾸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으며, 2022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했다.

연도개최국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833 – 2 (연장)(라운드 로빈)
19864 – 10 – 0 (승부차기 3 – 1)B팀
19891 – 0(라운드 로빈)1B팀
1991(라운드 로빈)(없음)(3개 팀이 참가)
1994(라운드 로빈)(없음)(3개 팀이 참가)
19983 – 17 – 1
2003(라운드 로빈)(라운드 로빈)
2007(라운드 로빈)(라운드 로빈)
201011 – 02 – 0
2014(라운드 로빈)(라운드 로빈)
20188 – 07 – 1
20222 - 11(연장)1
6(승부차기)5

1 3, 4위전 경기가 악천후로 인해 취소됨에 따라 조별 리그 성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3. 1. 역대 참가국

1983
1986
1989
1991
1994
1998
2003
2007
2010
2014
2018
2022합계New Zealand|뉴질랜드영어1위3위2위1위2위2위2위1위1위1위1위×11Papua New Guinea|파푸아뉴기니영어—×5위3위3위3위3위2위2위2위3위1위10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2위2위3위2위1위1위1위7Cook Islands|쿡 제도영어——————5위×3위3위GSQF5Fiji|피지영어4위————4위××GS—2위2위5Tonga|통가영어——————×3위GS4위GSQF5Samoa|사모아영어—————GS4위×——GS4위4Nouvelle-Calédonie|누벨칼레도니프랑스어3위——————×——4위QF3Solomon Islands|솔로몬 제도영어———————4위4위—•3위3Tahiti|타히티프랑스어——————××GS—GSQF3Chinese Taipei|중화 타이베이중국어1위1위2Vanuatu|바누아투영어——————××GS—•GS2American Samoa|아메리칸사모아영어—————GS×———•×1Australia B|오스트레일리아 B영어——4위————1New Zealand B|뉴질랜드 B영어—4위——————————1


3. 2. 주요 국가별 성적

1983
1986
1989
1991
1994
1998
2003
2007
2010
2014
2018
2022합계align="left" |1위3위2위1위2위2위2위1위1위1위1위×11align="left" |—×5위3위3위3위3위2위2위2위3위1위10align="left" |2위2위3위2위1위1위1위7align="left" |——————5위×3위3위GSQF5align="left" |4위————4위××GS—2위2위5align="left" |——————×3위GS4위GSQF5align="left" |—————GS4위×——GS4위4align="left" |3위——————×——4위QF3align="left" |———————4위4위—•3위3align="left" |——————××GS—GSQF3align="left" |—1위1위2align="left" |——————××GS—•GS2align=left|—————GS×———•×1align=left|——4위————1align=left|—4위—————————1



'''참고'''


1위– 우승
2위– 준우승
3위– 3위
4위– 4위
GS– 조별 리그
QF– 8강
– 예선 탈락
×– 기권
– 더 이상 OFC 회원이 아님



class="unsortable"|
11164104536271102.4428916+273
21013504120120611.4985159-74
3''''73310281927592.1115919+140
4''''220009801242.67195+14
5align=left50202207211231.153897-59
6align=left4000214428141.001683-67
7align=left3001213256110.851233-21
8align=left50020183213110.61967-58
9align=left3001111317100.911643-27
10align=left5001115249100.67964-55
11align=left30000912650.561424-10
12B10001411241.00220
13B10001401310.2515-4
14align=left20000501410.20224-22
15align=left10000200200.00030-30

4. 기록 및 통계

OFC 여자 네이션스컵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개최국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83년3 – 2 (연장)(라운드 로빈)
1986년4 – 10 – 0 (승부차기 3 – 1)B팀
1989년1 – 0(라운드 로빈)1B팀
1991년(라운드 로빈)(없음)
1994년(라운드 로빈)(없음)
1998년3 – 17 – 1
2003년(라운드 로빈)(라운드 로빈)
2007년(라운드 로빈)(라운드 로빈)
2010년11 – 02 – 0
2014년(라운드 로빈)(라운드 로빈)
2018년8 – 07 – 1
2022년2 - 11(연장)1
6(승부차기)5

1 1989년 대회의 경우, 3, 4위전이 악천후로 인해 취소됨에 따라 조별 리그 성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1]

4. 1. 국가별 통산 성적

우승준우승3위4위
6 (1983, 1991, 2007, 2010, 2014, 2018)4 (1989, 1994, 1998, 2003)1 (1986)-
3 (1994, 1998, 2003)3 (1983, 1986, 1991)1 (1989)-
2 (1986, 1989)---
1 (2022)3 (2007, 2010, 2014)5 (1991, 1994, 1998, 2003, 2018)-
-2 (2018, 2022)-2 (1983, 1998)
--2 (2010, 2014)-
--1 (2022)2 (2007, 2010)
--1 (1983)1 (2018)
--1 (2007)1 (2014)
B--1 (1989)-
---2 (2003, 2022)
B---1 (1986)


4. 2. 기타 기록

OFC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주목할 만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PNG strike early to secure first Oceania Nations Cup title https://www.rnz.co.n[...] 2022-07-31
[2] 뉴스 Decisive Taipei goal ensures celebration https://trove.nla.go[...] The Canberra Times 1989-04-02
[3] 웹사이트 Oceania Cup (Women) https://www.rsssf.or[...] 2013-01-26
[4] 웹사이트 Women's Oceania Cup 1989 (Brisbane) https://www.rsssf.or[...] 2007-09-18
[5] 웹사이트 OFC公式サイト http://www.oceaniafo[...]
[6] 문서 総当たり戦ののち、上位2チームのみで決勝戦を実施したため、3位・4位は総当たり戦の順位にて表記する。
[7] 웹사이트 OFC Women's Nations Cup set down for July in Fiji https://www.oceaniaf[...] オセアニアサッカー連盟 2022-04-29
[8] 문서 2023 FIFA女子ワールドカップの予選を兼ねるため、同大会に開催国として出場権を得ているサッカーニュージーランド女子代表|ニュージーランドは不参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